태아의 성장 발달
탯줄과 태반이 발달한다.
임신 4주부터는 태아 주위를 덮고 있는 융모 조직이 활발하게 증식해 태아에게 필요한 영양과 산소를 공급하고, 불필요한 노폐물을 엄마 몸으로 운반하게 됩니다.
이 융모 조직은 자궁벽에 있는 혈관과 함께 태반으로 발달하는데, 이때부터 탯줄도 생기기 시작해 엄마와 태아의 관계가 보다 밀접하고 돈독해지는 시기입니다.
심장박동을 시작한다.
아직 심장 형태를 갖추지는 않았지만, 2개의 혈관이 모인 튜브 모양의 심장관이 경련 같은 수축을 반복하며 혈액을 뿜어 낸다.
온몸에 혈액을 내보내는 능력이 생기며, 초음파 검사를 통해 태아의 심장박동을 들을 수 있다.
이등신이 된다
임신 7주에 들어서면 중추신경이 놀라운 속도로 발달하고, 머리가 몸 전체 길이의 2분의 1을 차지하는 이등신이 된다.
태아 등에 짙은 색을 띠는 부분이 나중에 척수로 발달하며, 머리와 몸 팔다리 형태도 구분되며 서서히 사람 모습을 갖추게 된다.
엄마 몸의 변화
나른하고 미열 증상이 있다.
감기나 몸살이 걸린 것처럼 온몸이 나른하고 머리가 아프거나 한기를 느끼며, 몸을 조금만 움직여도 쉽게 피로해진다.
이런 현상은 임신 상태를 유지하려는 항체 호르몬의 영향으로 나타난다.
임신하면서 기초체온은 12주 정도 고온기가 지속되는데, 만약 임신 초기에 체온이 갑자기 내려가면 유산의 징조일 수 있으므로 병원에
빨리 가보아야 한다.
유방이 붓고 아프다.
호르몬이 왕성하게 분비되어 생리하기 전처럼 유방이 당기듯이 아프거나 부풀어 올라 크고 무거워지며, 유두가 아주 민감해져 옷이 스치기만 해도 아프고 따끔 거린다. 특히 유두와 유룬의 색이 두드러지게 짙어지며 유방 바로 밑의 혈관이 선명하게 보이기도 한다.
입덧을 시작한다.
황체호르몬이 구토를 일으키는 뇌의 중추신경을 자극해 입덧과 구토 증세가 나타난다. 아침 공복에 가장 심하며, 식욕이 없어지고 속이 메스껍다.
평소 싫어하던 음식을 찾는 등 입맛이 변하기도 하며, 냄새에도 민감해 신경이 날카로워지는데 이러한 증상은 임신 5주 정도에 시작해 3개월이 지나면 대부분 사라진다
소변이 자주 마렵다.
생식샘 자극 호르몬이 분비되면서 혈액이 골반 주위로 몰리고, 이로 인해 방광이 자극을 받는다.
또 이전에 비해 커진 자궁이 방광을 압박하기 때문에 소변이 자주 마렵다.
자주 보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지만, 소변을 볼 떄 통증을 느낀다면 방광염을 의심해 보아야 한다.
방광염은 자궁의 세균 감염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즉시 치료를 받아야하며, 소변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배나 허리가 팽팽해지면서 긴장을 느끼기도 하고, 장의 움직임이 둔해져 변비에 걸리기도 한다.
건강 수칙
단백질을 많이 섭취한다.
태아의 뇌가 급속도로 발달하는 시기, 뇌 발달에 효과적인 단백질을 많이 섭취한다. 특히 동물성 단백질은 태반과 태아의 혈액, 근육 등 몸 조직을 구성하는 근원이 되므로 더욱 신경 써서 섭취해야한다. 육류, 생선, 콩류에 질 좋은 단백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엽산을 충분히 섭취한다.
엽산은 태아의 DNA를 합성하고 뇌 기능을 정상적으로 발달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척수액의 중요한 성분이 되기도하므로 세포 분열이 급격히 이루어지는 이 시기에 반드시 필요하다. 녹색 잎채소, 잡곡류, 연어, 우유 등에 많이 들어 있다.
※ 엽산 섭취가 부족할 경우 태아에게 척수 기형 또는 뇌수종 등이 생길 수 있다. 단, 너무 많이 섭취하면 다른 영양소 섭취에 방해가 되므로 400~600ug 정도 섭취한다.
칼슘 섭취를 2배로 늘린다.
태아의 골격, 턱뼈, 유치가 형성되는 시기이므로 칼슘이 부족하면 태아의 골격 형성에 이상이 생길 수 있다. 출생 후 치아 발달이 늦어지기도 하고, 임산부가 골다공증에 걸리기도 쉽다. 우유, 멸치, 치즈, 녹색 채소 등을 많이 섭취하며 우유는 하루 2컵 이상 마신다.
임신 6개월 (21~24주) 태아와 엄마 몸의 변화 (0) | 2023.02.18 |
---|---|
임신 5개월 (17~20주) 태아와 엄마 몸의 변화 (1) | 2021.02.16 |
임신 4개월 (13~16주) 태아와 엄마 몸의 변화 (0) | 2021.02.16 |
임신 3개월(9~12주) 태아와 엄마 몸의 변화 (0) | 2021.02.15 |
자궁근종 예방법 및 피해야할 음식 (0) | 2018.07.02 |
모유수유에 대한 잘못된 상식 및 수유 중 문제 대처법 (0) | 2018.07.02 |
남성 불임을 예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0) | 2018.05.09 |
모유수유의 오해와 진실 (0) | 2018.05.08 |
댓글 영역